[NFT] Moralis NFT MarketPlace 구축 - MetaMask
·
ETC/BlockChain
MetaMask란 ? MetaMask는 Ethereum 블록 체인과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암호 화폐 지갑이다. 본 프로젝트에서 MarketPlace를 구축하고 NFT를 구축하고 활용하는데 사용하는 지갑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MetaMask 지갑을 생성하고 Ropsten Test Net 를 설정하고 Test ETH 를 받는다. MetaMask 설치 MetaMask는 아래 링크에서 크롬 확장프로그램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metamask The crypto wallet for Defi, Web3 Dapps and NFTs | MetaMask A safe crypto wallet for digital tokens & NFTs. Join the blockchain and DeFi world...
[BlockChain] BlockChain, Cryptocurrency, NFT에 대해 알아보기
·
ETC/BlockChain
본 글에서는 블록체인, 암호화페, NFT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사실 앞으로 NFT 관련 프로젝트를 할 예정이기 때문에 NFT에 대해 더욱 중점적으로 알아볼 예정이다. 블록체인(BloackChain) 이란 ? 블록체인(BloackChain)이란 블록(Bloack)들이 체인(Chain)형태로 묶여 있는 분산처리 기술을 뜻한다. 블록체인은 기존의 중앙 집중형 처리 방식을 벗어나 사용자간 P2P 방식으로 상호간 인증 및 검증하는 기술이다. 아래의 참고 사진과 같이 기존에 중앙 기관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에서 사용자간에 서로 인증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특징으로 거래하는 과정은 아래 사진과 같이 특정 사용자가 송금을 요청한다면 거래 정보는 블록 형태로 생성되면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된다. 수신받..
[Contest] 2022 국방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에 참가하다 - 국방 단어교정 체계
·
ETC/ETC
필자는 2022 국방 데이터 활용 경진대회에 참가했다. 참가 결과는 아쉽게 1차 서류 통과 후 탈락하였다. 비록 수상은 하지 못했지만 이번을 경험으로 앞으로 좋은 결과가 생길 것이라고 기대하며, 간략하게 출품한 작품에 대해 기록한다. 주제 소개 본 공모전에서 제작한 국방 단어 교정 체계는 문서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서 금칙어를 지정하여 문서에 사용하는 단어의 표준화의 목적을 갖고 있다. 또한 파일의 해시 추출 및 암호 키 파일 기반의 대칭키 문서 암호화 기능을 추가하여 문서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국방 단어 교정 체계는 공모전의 취지와 부합하게 국방부 국방데이터 표준단어 목록 공공데이터를 메인으로 이용하였고 국립국어원 개방형 사전(우리말샘) 공공데이터를 보조 데이터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Software] Visual Studio Code 활용 이야기
·
ETC/ETC
필자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텍스트 에디터인 Visual Studio Code를 여러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본 게시글에서는 VSCode를 사용하면서 유용했던 설정이나 오류 해결법에 대해 기술한다. 디렉터리 파일 검색 VSCode에서 좌측 탐색기의 파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F1 키를 눌러 명령어 팔레트(Command Palette)를 활성화 한다. 2. > 기호를 지운 후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명을 입력한다. 3. 폴더명 파일명 형태로도 검색이 가능하다. SSH-Key 등록하여 패스워드 없이 접속 1. host pc의 터미널에서 ssh-keygen 명령어로 공개키/암호키 쌍을 생성 (생성한 경로 기억) ssh-keygen -t rsa 2. 호스트에서 생성한 키 파일을..
[E-Mail] 메일 보안 필터링 이론 정리
·
ETC/ETC
스팸 및 악성 메일 위협 유형 인터넷 메일 시스템은 개인, 기업, 학교,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중요한 서비스이다. 인터넷 이메일 서비스가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용되는 만큼 이를 악용한 사이버 공격 사례와 정상적인 서비스 이용을 방해하는 광고성(Spam Mail)성 메일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과 광고성 메일은 기존보다 고도화, 지능화되고 있어 이를 막기 위한 기술과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래는 스팸 및 악성 메일과 관련된 용어와 위협 유형이다. (1) 용어 가. 스팸메일 : 불특정을 대상으로 보내는 광고성 메일. 최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특정 대상에 대해 발송하기고 하기만 기본적으로 불특정을 대상으로 함. 악의적인 목적은 갖고 있지 않지..
[E-Mail] 이메일 시스템 구조 및 용어 정리
·
ETC/ETC
본 게시물에서는 이메일 시스템의 송/수신 구조 및 용어 정리에 대해 작성한다. 참고 사이트 이메일 시스템 구조 가. 구조 User Agent: 사용자 장치에서 메일 작성, 읽기, 관리 기능 수행. (or A.K.A Client). Mail Server: 다수 사용자들의 메일박스 관리, 메일 송/수신 제어.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메일 전송 프로토콜. MUA(Mail User Agent): 메일을 작성하여 보내는 프로그램(데몬). MTA(Mail Transfer Agent): 이용자로부터 메일을 받아서, 외부로 전달하는 프로그램(데몬). MDA(Mail Delivery Agent): MTA로부터 분리된 메일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프로그램 나. 이메일 전송 과정 순..
[E-Mail] Telnet과 OpenSSL을 이용한 SMTP 메일 발송
·
ETC/ETC
본 게시물에서는 Telnet과 OpenSSL를 이용하여 SMTP 메일 발송을 실습한다. 실습하기에 앞서 게시물에서 다루는 환경은 Linux(Rocky)에서 실습한다. SMTP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은 인터넷 상에서 이메일을 전송할 때 쓰이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기본 포트(Port)는 25번 포트를 사용하며, MUA-MTA 또는 MTA-MTA 전송간 사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ASCII 텍스트를 보내는 프로토콜이지만 ASCII의 7bit 문자열을 초과하는 데이터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Telnet 가. Telnet Telnet은 원격지의 컴퓨터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
[IoT] 실내측위에서의 UWB와 BLE의 효율성 비교
·
ETC/IoT
1. 서론 스마트폰의 보급의 확대로 우리나라는 93.1%의 스마트폰 보급률 1위를 달성하였다. 스마트폰의 고성능 프로세서와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된 서비스들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지도, 네비게이션, 택시, 배달 등의 서비스는 위치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혹은 대상의 위치를 판별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위치측위 기술은 장소에 따라 실외와 실내로 나눌 수 있는데, 실외 위치측위와 다르게 실내 위치측위는 한정된 공간과 다수의 전파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과 장애물이 많은 특성 때문에 비교적 낮은 정확도와 한정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본 과제에서는 실내 측위에서 사용되는 UWB와 BLE의 통신 프로토콜과 실내측위기술을 비교 및 분석하고 실내측위에서 UWB와 BLE..
[IoT] Mbed란 ?
·
ETC/IoT
스마트폰 Embedded Operating System은 주로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와 산업용 기계, 소형 IoT 디바이스와 같은 작은 기기에서 퍼스널 PC대비 낮은 사양, 적은 메모리, 저전력 환경에서 운용되는 운영체제이다. 현재 IoT OS 시장에는 Embedded Linux, TinyOS, Contiki, Mbed, Windows 등 다양한 운영체제가 존재하는데, 적용하는 HW마다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특징을 간단하게 정의하기 쉽지 않아 표준화된 IoT OS는 없는 실정이다.[1] 마치 국내 스마트폰 시장 초기에 LG, 펜택, 삼성 등 다양한 기업에서 스마트폰 시장에 뛰어 들었지만 현재 삼성 스마트폰으로 좁혀진 것처럼 향후 저전력, 경량화, 보안성, 개발 용이성이 고려된 OS가 표준화..
[IoT] Wifi Mesh와 Bluetooth Mesh
·
ETC/IoT
Wireless Mesh Network란 일종의 무선 Ad Hoc 네트워크의 형태로 Mesh 라우터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각각의 노드가 1이상의 링크를 거쳐 이웃하는 라우터나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Mesh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안정적인 속도는 보장하고 넓은 커버리지 확대효과를 얻는다.[5] 본 주제에서는 WiFi와 Bluetooth Mesh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하여 결론을 얻도록 하겠다. 1. WiFi Mesh Mesh WiFi는 WiFi6(IEEE 802.11ax)을 통합하여 다중 액세스 포인트(AP)에서 WIFI 연결, 성능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다[6]. 기존의 단일 WiFi AP에서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커버리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디바이스가 모뎀에 연결하여 메인 허브가 되고..